2015년 5월 27일 수요일

MBINE MAIL의 특징 - 실시간 3중 데이터 복제 기술

안녕하세요. 오늘은 MBINE MAIL 의 데이터 보관 방법에 대해서 소개합니다.


email 데이터들은 업무상 중요도가 매우 높습니다. 메일 1개라도 손실되면 큰일이죠.
MBINE MAIL은 초기 설계 당시에 이 부분을 가장 중점적으로 연구했습니다.

현실

데이터 보존 기술에 대해서 많은 연구 끝에 첫번째로 선정한 것은 어떠한 Data Center에 보관할 것인지였습니다.
국내의 호스팅 업체를 기준으로 밴치마킹을 해보았습니다.
대부분의 호스팅 업체는 아래와 같이 관리하고 있더군요.


  • 국내 IDC에 서버 입고
  • 데이터 서버의 일일 백업
  • IDC에 상주하는 3교대 근무자가 서버 모니터링


뭐~ 예상된 결과였습니다.

저 또한, 유사한 업체에서의 경험을 토대로 처음에는 이러한 선택을 하려했었습니다.
그런데 왜? 3교대 근무자가 눈뜨로 지켜봐야하는 것일까? 에 대한 의문이 늘 있었습니다.
그 이유는 아래와 같습니다.

혹시 모르는 서버 장애를 확인/처리하기 위해...

자~ 그렇다면.. 생각해보았습니다. 장애가 없는 환경을 구성할 수 있을까?
이러한 사람을 투입하는 방법은 그만큼의 유지 비용이 발생하고 그 유지 비용은 사용자의 사용료 증가로 이루어질 것이 분명할텐데...
그래서, 장애 없는 무중단의 환경을 구성하는 것을 목표로 연구했습니다.

그 결과...

선택! Azure!


(MS Azure Logo)

Microsoft 에서 제공하는 클라우드 플랫폼 기술인 Azure를 접한 것은 약 2년전 MBINE 서비스를 개발/제공하기 시작했던 때였습니다.
MS는 높은 서버 운영 기술력을 바탕으로 무중단 서비스를 제공하는 클라우드 플랫폼 제공을 시작하였습니다.

(MS Azure의 Data Center)

MBINE의 모든 서비스는 현재 MS Azure 기반으로 운영되고 있습니다.
MBINE MAIL의 시스템을 설계할 당시에도 마찬가지였습니다. 그러나, MS Azure의 사용료는 여타의 호스팅 업체 및 IDC 사용료보다는 조금 비쌌습니다.

이 가격을 어찌할 것인가... 고민하게 되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고민의 답은 아래의 조건들로 인하여 고민이 해결되더군요.


  1. 무중단 서비스가 실현될 수 있다!
  2. 사람 보다는 MS의 기술력을 더 신뢰할 수 있지 않을까? 경험상 모든 문제는 인재였어...
  3. 서버 상주 인력을 채용하여 관리하게 하는 것보다는 가격대비 좋다.


결국 비용은 더 들지만, MS의 높은 서버 운영 기술을 믿고 Azure를 선택하게 되었습니다.

좀 더 자세히...

그렇다면, MS의 데이터 보존 기술은 어떠한가?
일단 쉽게 말씀드리면, 사용자들의 모든 데이터(Email, 첨부파일 등등)들은 실시간으로 3개의 서버에 복제됩니다.
대부분의 호스팅 업체의 백업 방법은 스케쥴을 통한 1일 백업입니다.
그러나, MS Azure의 데이터 보관은 실시간으로 3개의 서버에 복제됩니다. 이건 기본 제공 방식입니다. 여기서 더 나아가 지리적으로 떨어진 MS Data Center 에 복제도 합니다.

(MS Azure의 실시간 복제 기술)

이러한 실시간 데이터 복제 기술로 인하여 데이터 유실은 발생하지 않게 됩니다.
서버의 가용성, 데이터의 내구성을 위하여 기본으로 실시간 3중 데이터 복제 기술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MBINE MAIL 의 모든 사용자 데이터도 이렇게 보관됩니다.

결론

사실, MBINE MAIL의 데이터 보존은 MS Azure 기술을 사용하는 것뿐만 아니라 내부적으로도 클러스터링을 구현하여 다중 복제되어 관리되고 있습니다. 더 자세히 설명을 드릴 기회가 있겠지만 이번 포스팅에서는 여기까지만 소개해드립니다.

무제한 용량을 1개의 메일도 손실 없이 보관하는 방법은 그리 쉽지 않습니다.
여타의 업체는 시스템으로 해결하는 것보단 사람을 투입하여 이 문제를 극복하려 하고 있으나, MBINE은 완벽히 시스템화 되어있습니다.

사람은 장애 발생 이후에나 관여할 수 있지, 장애를 일어나지 않게 하기는 쉽지 않습니다.
시스템화된 운영 기법을 통하여 MBINE MAIL은 1개의 메일도 완벽히 보관하고 있다는 점을 알려드리며 이만 줄입니다.

더 자세한 사항에 대해서는 MBINE MAIL Homepage 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https://www.mbine.com/mail/

2015년 5월 26일 화요일

[국내 최초 IMAP 무제한 메일 서비스]완벽한 자동화, 그리고 설치비 무료화 선언까지...

안녕하세요. MBINE 입니다.

이번에도 좋은 소식 하나 들고 이렇게 포스팅합니다~
MBINE MAIL이 오픈한 뒤로 이런저런 추가 개선 작업을 진행하였습니다.
이러한 작업들은 모두 하나의 목표를 두고 이루어졌습니다.

찜찜...

MBINE은 약 2년여전에 생산성 도구를 오픈하면서 세상에 나왔습니다.
이때 저 스스로 약속한 것이 있었습니다. 바로, 이것입니다.

'무료로...'

무료로 모든 것을 제공하자! 입니다.
그런데 올해 5월 초, MBINE MAIL을 오픈하면서 이러한 무료 정책을 유지할 수 없게 되었습니다.
MAIL 이라는 서비스 특수성으로 인하여, 어느정도의 진입 장벽이 있어야 했습니다.
그래서 항상 오픈뒤에는 찜찜함을 느끼고 있었습니다.

스패머

스패머들의 장이 될 수 있을 것이라는 판단, 그리고 그 당시에는 수신시의 스팸 필터는 완벽히 구성되어 제공하였지만, MBINE MAIL을 이용하여 스팸메일이 발송되는 것에 대해서는 아무런 제약을 두지 못했습니다.
결국, 스패머의 장이 될 것을 우려하여, 초기의 진입 장벽을 높일 수 밖에 없었습니다.
그래서 찜찜하지만, 최초 1회 서비스 신청시에 설치비를 받도록 결정했습니다.

안정화와 개선의 노력

오픈 이후, 저희는 설치비를 무료로 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서 찾고 또 찾았습니다.
내부적인 개선을 통해 저렴한 가격으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면, 못할 것도 없었습니다.
결국, 어제의 서버 증설 및 개선 작업이 성공적으로 끝나면서 이제는 설치비는 받지 않을 수 있게 되었습니다.

설치비?

사실, 많은 호스팅 업체에서는 아직도 이런저런 호스팅 신청시에 설치비를 받습니다.
그러나 과연 설치비라는 것이 타당한 것일까요? 신청을 하면, 누군가 직원이 나서서 키보드를 두들겨가면서 신청한 서비스를 개통하고 있을까요?

아닙니다.
자동화되어 있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자동화되지 않고 한다면... 그건 기술력의 문제일 것이고요.
시스템이 자동화 되어있다면, 설치비는 무슨 의미일까요?
그냥, 서비스 월 사용료를 경쟁에 의해 낮추게 되면서 다른 곳에서 추가적인 비용을 발생하게 하여만 했고, 그래서 설치비라는 이름으로 초기에 추가 결제를 유도하게 되었다고 봅니다.

그러나, 그것은 여타의 호스팅 업체의 이야기이고...
MBINE은 처음에 말씀드렸지만, 무료로 메일을 제공하지 못하고 있는 점에 대해서는 늘 고민입니다.
그런 상황에서 설치비까지 맏아야 하는가!? 에 대해서는 비판적일 수 밖에 없었습니다.

설치비 따위는 받지 않는다!

결국, MBINE은 오픈 이후, 설치비를 받지 않을 수 있도록 환경을 개선하는데에 주력했습니다.
그리고 오늘! 설치비 무료를 선언하게 되었습니다.

이제, 설치비 따위는 잊고~ 오직 계정당 월 1천원으로 메일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국내 최초 IMAP 무제한 용량 메일을 오직 계정당 1천원으로 제공하며, 설치비 따위도 받지 않습니다~

NEXT~

이제 저희는 여기서 끝내지 않고, 국내 최초 IMAP 무제한 용량의 메일을 오직 1천원이 아닌, 더 저렴한 가격으로 제공할 수 있도록 더욱더 노력할 것입니다~
이 서비스를 통해 엄청난 돈을 벌고자 하는 것이 우리의 목표가 아니기에...

[동영상 메뉴얼] 신청이 끝나면, 계정 설정을 해야하죠~

안녕하세요~ MBINE입니다~

이번엔 MBINE MAIL에 대한 동영상을 소개하려합니다.

MBINE MAIL의 신청이 끝나면, 이제 실제 사용할 계정을 등록하고 관리해야합니다.
이런저런 말과 스샷보다는 동영상으로 설명드리는 것이 훨씬 좋겠죠?
그래서 잘 못하지만, 동영상을 찍어보았습니다~

감상 한번에 모든 것을 이해하실 수 있을 것 같다는... ^^
다 보셨다면, 이제 계정 설정은 모두 이해하셨을 겁니다~
앞으로도 동영상 메뉴얼은 계속 됩니다~ 쭈욱!

2015년 5월 19일 화요일

IMAP의 특징은 무엇인가?

안녕하세요.
오늘은 MBINE MAIL 에서 제공하는 IMAP Service 에 대해서 소개드립니다.
MBINE Mail 은 다른 호스팅 메일과는 다르게 IMAP 을 지원합니다.
그렇다면 IMAP 의 특징이 무엇인지 한번 알아보겠습니다.

메시지 수신 방법의 차이

IMAP 은 메시지 수신 방법중에 하나입니다.
일반적인 호스팅에서는 POP3를 지원하고 있죠.
그러나 대형 포털이나 글로벌한 업체는 IMAP 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왜냐~!?
사용자 입장에서 무엇보다 편하니까요.

폴더 동기화

POP3는 폴더를 동기화하지 않습니다.
오직 받은 편지함에 있는것만 동기화하죠. 그렇기 때문에 어떤 메시지는 다른 기기에서 확인할 방법이 없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사용하는 디바이스를 변경하게 되면, 모든 메일을 확인할 수 없습니다. 특히 메일 시스템에서 자동으로 이동된 스팸 편지함에 있는 메일들이 그렇죠. 스팸이 아닌데 스팸으로 걸러진 중요한 메일들이 확인 불가한 상황이 벌어지기도 합니다.
받아야할 메일이 의도하지 않게 스팸편지함으로 들어가서 아웃룩이나 모바일에서 확인할 수 없다면... ㅠㅠ
IMAP은 어떤 디바이스에서 만들어도 그 폴더는 사용하는 모든 디바이스에서도 확인됩니다.
모든 데이터가 동기화되는것이죠. 특정 메일을 다른 폴더로 이동해도 모든 디바이스에서 동기화되어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 부분이 엄창 큰 장점이죠.

데이터 보관의 차이

기본적으로 POP3는 메일을 서버에 보관하는 취지가 아닙니다. 메일을 클라이언트가 모두 가져가서 관리하는 형태입니다. 그 근본부터가 그렇게 설계되어있습니다. 물론 설정시에 서버에 복사본 저장이라는 옵션을 통해 보관할 수는 있습니다. 그러나 이 설정은 기본이 아니기 때문에 한번의 실수가... ㅠㅠ 그리고 서버에 복사본 저장이라는 말 자체가 POP3의 성격을 알 수 있게 해주죠.

IMAP은 모든 데이터를 서버에 보관합니다.

메시지 원문 전체, 사용자가 만든 폴더, 필터링 규칙 등등...
그렇기에 멀티 디바이스에서 메일을 사용하는 요즘의 상황에서는 IMAP 이 필수입니다.
MS의 livemail, Google의 gmail, naver의 naver mail 이런 대형 포털에서는 IMAP 을 기본으로 지원하고 있은 이유입니다.

결론

위와 같은 장점(동기화, 보관)으로 인하여 요즘 IMAP은 메일 서비스의 필수이면서 기본이 되어가고 있습니다.
MBINE MAIL은 이러한 IMAP 뿐만아니라 동시에 POP3도 지원합니다.
그렇기에 POP3를 백업 용도로, IMAP은 실사용 용도로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2015년 5월 7일 목요일

MBINE MAIL의 특징 2 - 메일 상태 동기화(IMAP)

안녕하세요. MBINE 입니다.
이번에도 MBINE MAIL의 특징을 연재합니다. 그중에서 2탄인데요.
1탄도 동기화였는데, 2탄도 동기화 부분입니다. 그만큼 동기화 부분이 강력하기 때문입니다.

그럼 시작해볼까요?

메일 상태 동기화

메일의 상태는 매우 다양합니다. 표준으로 사용하는 상태로는 읽음/안읽음, 답장 했는지의 여부, 중요표시 등이 있고요, 표준이 아니지만 많이 사용하고 있는 것들로는 Gmail의 답장 필수, Done 여부 또는 Outlook의 라벨 등이 있습니다.

일단, 이번에도 어설프지만 직관적으로 어떻게 동기화가 되는지 살펴볼 수 있도록 동영상을 먼저 보여드리겠습니다.(배경 음악은.. 쩝~)

(음악이 좀 시끄러울 수도...)

어떠신지요? MBINE MAIL에서 제공하는 Webmail과 아웃룩을 동시에 실행한 상태에서 메일에 대한 속성(상태)의 변경이 어떻게 바로 동기화가 되는지 확인하실 수 있었을 겁니다.

멀티 디바이스 대응

다양한 디바이스(모바일, 테블릿, PC)을 동시에 사용하면서 하나의 사서함을 관리하다보면 이런 동기화 기능이 필수입니다.
어떤 메일이 읽은 메일인지, 아닌지.. 그리고 어떤 메일을 중요표시 해두었는지...
이 모든 정보를 동기화 합니다.

POP3는 이런 정보를 동기화 할 수 없습니다. 클라이언트에 메일(받은 편지함의 있는 메일만)을 받아 클라이언트에서 변경한 사항은 절대 동기화 하지 않습니다. 그냥 내려주고 끝! 이죠.
그렇다고, MBINE MAIL이 POP3를 지원하지 않느냐!? 그렇지 않습니다. 폴더, 개별 메일의 상태 동기화를 지원하는 IMAP, 그리고 POP3 모두 동시에 지원합니다.

그럼, 이번 동기화 편을 마칩니다~

MBINE MAIL의 특징

1. 메일 폴더 동기화
2, 메일 상태 동기화
3. 보낸 편지 동기화
4. 메일 별칭

2015년 5월 6일 수요일

MBINE MAIL의 특징1 - 폴더 동기화(IMAP)

안녕하세요~ MBINE입니다.
MBINE MAIL이 오픈되고, MBINE MAIL의 특징에 대해서 궁금해하시는 분들이 많습니다.
그래서 앞으로 MBINE MAIL의 특징에 대해서 포스팅을 이어갈까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MBINE MAIL의 특징중에 하나인 동기화 부분에 대해서 소개해드립니다.

폴더 동기화

MBINE MAIL은 IMAP/POP3를 동시에 지원하는 특징을 갖고 있습니다.
그중, IMAP을 사용하였을때 어떤 특징이 있는가 하면, 바로 모든 메일과 폴더가 동기화 된다는 것입니다.
먼저, 간단한 시연이 포함된 동영상을 확인해보세요~ 여러 말보다, 실제 어떻게 동기화가 이루어지는지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아웃룩과 웹메일에서의 폴더 동기화에 대한 동영상입니다.
아웃룩과 웹메일간의 동기화 뿐만아니라 아웃룩과 모바일, 모바일과 모바일등 IMAP을 지원하는 Client이면, 모두 이렇게 모든 폴더의 구조와 폴더내의 메일들이 그대로 동기화 됩니다.

POP3와 다른점

POP3는 오직! 받은 편지함의 메일만 가져오게 됩니다. 그냥 가져오고 끝입니다.
그러나, IMAP은 메일을 가져온 이후에도, 개별 메일, 또는 폴더의 구조등을 모든 기기와 동기화해줍니다.
대부분의 기업 메일들이 이런 저런 이유로 POP3만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요즘 시대에 멀티 디바이스를 사용하는 경우는 매우 많으며, 이런 멀티 디바이스 환경에서 IMAP지원은 필수가 되어가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회사 아웃룩에서 보낸 메일을 집에 있는 아웃룩에서 확인하려한다...'
'회사 아웃룩에서는 폴더별로, 메일들을 잘 관리하고 있었는데, 집에서 확인하려니 모두 받은 편지함으로 정리가 안된 상태로 받아온다.'

이런 문제가 발생하게 됩니다. (오직 받은 편지함의 메일들만 내려주고 그 이후는 신경을 안쓰니까...)

결론

사실, 이래서 요즘 메일 서비스는 IMAP, IMAP하고 있는 것입니다. 물론, Gmail, Oulook 등의 굵직한 서비스들은 IMAP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MBINE MAIL은 이런 IMAP 뿐만 아니라, POP3도 동시에 지원하고 있습니다. 원하시는 것을 선택해서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집의 PC에는 POP3, 모바일에서는 IMAP, 회사에서는 IMAP...
이렇게 다양한 형태의 메일 서비스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

다음에는 동기화 대상중에 하나인 개별 메일의 동기화에 대해서 포스팅해보겠습니다.

MBINE MAIL의 특징

1. 메일 폴더 동기화
2, 메일 상태 동기화
3. 보낸 편지 동기화
4. 메일 별칭

2015년 5월 5일 화요일

MBINE 새로운 서비스 런칭 및 Update 안내!

안녕하세요~
오래간만에 새로운 소식들고 이렇게 포스팅하게 되었습니다.

먼저 사과

그동안 MBINE에 업데이트도 2개월동안 쉬었고, 포스팅도 없어서 잠수 의혹이 있었습니다. ㅋ
일단 이 점에 대해서는 살포시 고개 숙이며 죄송하다는 말씀 드립니다.

뭐했냐?

그동안 뭘했느냐!?
바로 새로운 서비스를 개발하는데 전념했습니다.
새로운 서비스라고해서 기존 MBINE과 전혀 다른 서비스인 것은 아닙니다.
MBINE은 협업도구입니다. 완벽한 협업도구를 지향하는 관점에서 기존 MBINE은 너무 폐쇄적이었습니다.
뭔가 협업 당사자들간의 커뮤니케이션이 강화되어야 했습니다.
전체적인 로드맵에서 이제막 걸음마를 시작한 정도라고 볼수 있습니다. 완벽한 (?) 협업을 위해서는 아직도 부족한면이 많습니다.

만들자!

초기 MBINE을 구상하면서 만듬 로드맵에 따라 새로운 서비스를 개발할 시점이 언제인지 선택하는것은 매우 어려웠습니다.
고민을 하던 중~ 나름의 단순한 선택방법을 따라 선택하게 되었습니다. 고민할거라면... 그 시간에 그냥 시작하자!
무언가를 만드는 작업은 늘 흥분에 가득차게 합니다.
생소한 서비스를 개발한다는건 즐겁지만 어렵습니다. 매우 즐겁게 시작했지만 늘 어려움은 함께 했습니다.
개발 이전부터 미래에 해야할 것들에 대해 사전 지식을 쌓아 두었기에 나름 순조롭게 개발되었고, 이제는 완료되어 이렇게 공개하게 되었습니다.
자~ 그럼 이랗게 장황하게 설명한 그 새로운 서비스는 무엇이냐!? 바로.... 두둥...

가장 기본적인...

바로 가장 기본적인 메세징 서비스인 메일입니다.
메일은 가장 기본적인 커뮤니케이션 수단입니다.
앞서 생각했던 커뮤니케이션 수단중에는 여러개가 있었지만, 메일처럼 기본적이고 표준화된 커뮤니케이션 수단은 없었죠.
아마도 다들 동의하실것이라.... 아닌가!?

(새로운 MBINE의 대문)

MBINE MAIL의 특징

특징은 단순하지만 강력합니다. 표준을 따르면서 시대에 뒤떨어지지 않은... 그런 메일 서비스를 개발했습니다.

1. IMAP

메일에 대헤서 아시는분도 계시지만 IMAP은 이미 대세입니다. IMAP과 POP3형식으로 크게 구분됩니다. 대다수의 호스팅에서 제공하는 방법은 POP3입니다.
그럼 뭐가 다르냐?
POP3는 서버의 메시지를 그대로 로컬에 가져와서 처리를 합니다.
모바일에서 확인할때 많은 트래픽이 발생하고 느리죠. 반면 IMAP은 헤더정보만 가져오고 사용자가 해당 메일의 본문을 보려할때 메세지 정보를 다운로드 받게 됩니다. 이러한 이유로 gmail, outlook 등의 메일 시스템은 IMAP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POP3는 메일을 모두 가지고와서 처리하기 때문에 한번 가져오고 나면 다른 디바이스에서 가져올 수 없습니다. ( 물론 유저가 이런저런 설정을 하면 가능하긴 합니다만.... 실수로 한번 잘못 가져오면... 다른 어떤 디바이스에서도 메일을 확인할 수 없죠.)
또한 IMAP은 메일 개별적인 상태까지 모두 동기화합니다.
메일을 읽었는지 안읽었는지, 중요표시여부, 답장을 했는지 안했는지... 개별 메일에 대한 모든 동기화를 제공합니다. 즉, PC에서 메일을 읽었는데 모바일에서는 안읽은 메일로 표시된다? 그런 일이 없습니다. 모든게 동기화됩니다.
개별메일의 동기화뿐만 아니라 폴더도 모두 동기화됩니다. POP3는 받은 메일에 대해서만 로컬로 가져오는데요. 그러다보니 보낸 편지가 여러 디바이스에서 다르게 나옵니다. 그러나 IMAP은 보낸편지함의 메일까지 동기화됩니다. 모든 편지함이 동기화됩니다. ( 하위 편지함까지... )
IMAP은 멀티 디바이스를 지원합니다. 모든 메시지가 서버에 존재하기 때문입니다. 요즘처럼 모바일, 아웃룩, 선더버드 등 장소에 따라 동일한 계정의 메일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필히! 이 형식을 따라야합니다. 메일의 메시지 뿐만아니라 메일 폴더도 함께 동기화되어 어느 디바이스에서 만들어도 다른 디바이스에서 동기화되서 그대로 사용가능하게 됩니다.
그럼 대부분의 호스팅업체에선 왜 POP3를 사용하나요?
비용때문입니다. 어쩔 수 없은 선택이죠. ㅋ
MBINE Mail은 IMAP을 100%지원합니다. 물론! POP3도 동시 지원합니다~!

2. 무제한 용량

MBINE Mail은 무제한 용량으로 제공됩니다. 국내 최초입니다. 무제한 IMAP 지원 메일...
메일 용량에 신경쓰면서 사용하는게 늘 스트레스입니다.

'용량이 다 차서 외부에서 보낸 메일을 못받으면?'

그래서 무제한 용량으로 제공됩니다.
용량걱정 없이 쓰시면 됩니다.

(MBINE Mail은 국내 최초, IMAP 지원의 무제한 메일)

3. TODO Pro와의 호환

MBINE MailMBINE의 기본 서비스인 TODO와 완벽히 호환됩니다.
TODO를 사용하면서 가장 불편했던 부분이 각종 이슈의 변화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없었던 부분인데요. MBINE Mail과 완벽히 통합되어 이슈나 프로젝트의 변화를 실시간으로 메일을 통해서 알림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

4. 무중단

메일은 가장 기초적이면서도 기본적인 서비스입니다. 언제, 어디서든 메일을 발송할 수 있어야하며 확인할 수 있어야 합니다.
MBINE Mail은 중단되지 않습니다. 모든 서버는 Windows Azure를 통해 관리됩니다.
MS의 Windows Azure 서비스는 99.95%의 가용성을 보장합니다.
메일 데이터를 보관하는 Storage도 실시간으로 3중 복제 되어 보관된 데이터의 유실을 완벽히 차단해줍니다.
발송, 수신 서버 모두 복수의 서버를 두어 서버의 부하를 경감하고 특정 서버의 장애시 유휴 서버를 바로 활성화 시키는 기술을 사용합니다.
약 2개월의 Closed Beta중에도 당연히! 한번의 장애도 발생하지 않았던 이유도 자동화된 서버 운영 기법을 통해서였습니다.

5. 가격

MBINE은 시작부터 무료 서비스를 지향해왔습니다.
그러나 이번 메일 서비스를 앞두고 중대한 결정을 내리게 되었습니다. 결국 메일 서비스만큼은 유료화를 결정하게 되었습니다.
그 이유는, 무료로 제공되는 경우에 스패머들의 스팸메일 발송의 장이 되게 되는 경우가 허다합니다. 스패머의 활동으로 특정 메일 업체에서 MBINE Mail의 발송서버를 Black List로 등재할 수 있게됩니다. 즉, 선의의 피해자가 발생할 수 있으며 소수이지만 질 좋은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유료화결정을 하게 되었습니다.
그러나, MBINE Mail은 업계 최저가를 지향합니다.
때돈 벌려고 하는게 아니기 때문에 최저가를 약속드릴 수 있습니다.
오픈과 동시에 시행하고 있는 이벤트인 계정당 1,000원 이벤트는 6개월동안 지속될 예정이며, 추후에도 가장 적절하고 최저인 가격으로 서비스 될 예정입니다.
(Open Event 중, 최저가인 계정당 월 1,000원, 앞으로도 최저가는 쭈욱~)

마치며...

헉헉... 너무 장문이었나요?
이번 MBINE의 대대적인 업데이트에 많이 놀래셨을 것 같습니다.
위에 기술된 내용뿐만 아니라 새롭게 선보이는 MBINE Mail에는 Webmail 지원등 다양한 기능과 기술들이 탑재되어있으니 자세한 사항은 MBINE 홈페이지에서 확인해보시기 바랍니다.

또한 기존 MBINE TODO 사용자 여러분들은 기존의 MBINE 홈에서 사용하던 TODO가 MBINE 홈페이지에서 우측 상단의 TODO를 선택하여 TODO 전용 페이지에서 그대로 이용하실 수 있다는 점 알려드립니다!

더 좋은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앞으로도 되도록 잠 안자고 노력, 또 노력하겠습니다~